LOL 새 아이템 아이콘에 대하여
LOL의 새 아이콘이 가독성이 낮은 이유에 대하여 고민해보았다.
LOL 아이템 시스템 개편과 함께 새로 디자인된 아이콘이 가독성이 낮은 이유에 대하여 고민해보았다.
고찰의 취지
LOL 10.23 패치에서 아이템 시스템이 개편되었다. 플레이어 당 하나만 보유할 수 있는 신화급 아이템이 등장하게 된 것.
문제는 아이콘 스타일이 바뀌면서 아이콘을 알아보기 너무 어렵게 되었다는 것. 커뮤니티를 살펴보아도 적응할 때가 되었는데 아직 못하겠다고 한다. 프로게이머의 방송에서도 적이 무슨 아이템을 들고 있는지 못 알아보겠다는 이야기가 나온다. 어째서 이런 상황이 생기는지 고민해보았다.
고찰 방법
비교를 하려면 먼저 기존 아이콘과 새 아이콘 이미지를 구해야한다. 이는 HTTP Reequest를 통해 얻을 수 있으며, Riot Developer Portal 에 자세한 정보가 있다. 먼저 아이템 데이터를 읽고 아이템 데이터에 있는 아이콘 파일명으로 아이템 이미지를 얻을 수 있다.
아이템 시스템 업데이트 전인 10.22.1 버전과 최신의 버전인 10.24.1 버전의 아이템 중 두 버전에 모두 있는 것을 서로 비교해보았다.
간결성의 상실
아이콘에서 일러스트로
아이콘은 작게 표현되는 만큼 간결성이 있어야한다. 물론 판타지 배경의 게임 아이콘은 현실의 사물에 빗대어 표현할 수 없는 만큼 간결함만 추구하기는 어렵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LOL의 새 아이콘은 간결성을 너무 벗어난 것으로 보인다.
수은 장식띠의 아이콘에는 반드시 수은을 표현하겠다는 일념이 느껴진다. 존야의 모래시계는 현실에 비유할 수 있는 모래시계가 있음에도 과도하게 표현되었다. 밤의 끝자락은 아이템의 컨셉을 간결하게 표현한 ‘아이콘’에서 하나의 ‘일러스트’가 되어버렸다.
입체적 구도
사람은 입체 요소보다 평면 요소를 더 잘 인지한다. 눈은 대상을 평면 요소로 뇌에 전달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대부분의 아이콘은 평면으로 그려진다. 사실주의적인 스큐어모피즘 아이콘 역시 구도는 평면이다.
하지만 게임의 아이콘은 평면으로만 표현하기는 어렵다. 스마트폰 사용자가 수십 개의 메일 앱을 구분해야 할 일은 없지만, 게임의 플레이어는 수십 개의 갑옷을 구분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평면으로 실루엣을 차별화하기 어려운 경우 어느 정도 사용할 수는 있다.
LOL의 새 아이템 아이콘들은 플레이어의 인지 속도를 늦추는 입체적인 구도가 많아졌다. 앞서 언급했듯 평면으로 표현하는데 한계가 있는 경우에는 입체적인 구도를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기존 형태로도 특징이 명확한 아이콘들을 불필요하게 입체로 바꿨다는 느낌밖에 들지 않는다.
실루엣
실루엣을 부각하는 요소가 줄어든 것도 아이템을 인지하기 어렵게 만든 요소 중 하나라고 생각한다.
LOL의 아이템 아이콘은 상점에서 보이는데 그치지 않는다. 탭 키로 개별 플레이어의 아이템 보유 상황을 확인하는 일이 훨씬 빈번하다. 상황판에서는 아이템의 아이콘이 40px 정도로 작게 보이므로, 아이콘의 디테일 보다는 실루엣과 색상이 더욱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외곽선이 사라짐
기존의 아이콘들은 실루엣을 강조해주는 선들이 있었다. 하지만 새 아이콘들은 일러스트화 되면서 외곽선이 많이 사라지게 되었다. 이로 인해 작게 표시될 때 인지하기 더 어렵게 되었다.
여백이 사라짐
아이콘 내의 이미지가 크다고 해서 좋은 것은 아니다. 적절한 여백이 있을 때 형태를 인지하기 용이하다. 게임의 아이콘은 형태와 함께 배경색으로도 구분한다는 점에서 여백은 더욱 중요하다. 하지만 새로운 아이콘들은 크기가 훨씬 커지면서 실루엣과 배경색 모두 인지하기 어렵게 되었다.
마치며
아이콘은 결국 시간이 지나면 익숙하게 될 것이다. 하지만 아이템 시스템에 큰 변화가 생기면서 플레이어가 새로 배워야할 것이 많아지게 되었다. 그런만큼 아이콘의 가독성을 좀 더 배려했으면 하는 아쉬움이 있기에 한 명의 플레이어로서 이런 글을 작성해보았다.